MASS Arts Plastiques
Scuplture Gallery and Shop
Project Owner
MASS Arts Plastiques
Date
2020. 7
On a slope in Pyeongchang-dong, here is an art and culture complex, 'D. SPACE,' which follows values for culture, art, and education. This project includes a renovation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 The place is renewed for a fine art gallery, 'Mass Arts Plastiques,' on the 1st basement floor as well as is partially replaced to its deck part of the 1st floor. The site, located half-way up the hill, is partially surrounded by a great-looking landscape and has beautiful scenery of an overlooking metropolis. The facade and space are planned to use those merits fully enough and blend well with its circumstances.
평창동의 한 경사지에는 문화, 예술, 그리고 교육을 주요 가치로 삼고 있는 복합문화예술공간 ‘D. SPACE’가 있다. 이곳의 지하 1층에 들어가는 조형예술 갤러리 ‘Mass Arts Plastiques’의 인테리어와 외부공간 그리고 1층 데크 부분을 새롭게 디자인하여 건물의 부분 리노베이션을 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언덕의 중턱에 위치한 사이트는 주변 녹지의 풍경이 좋고 도시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지리적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입지적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주변 환경에 잘 스며들도록 건축물의 입면과 공간을 계획했다.
No items found.
No items found.
No items found.
No items found.
No items found.

‘D. SPACE’는 대지 내부에 있던 소나무를 그대로 살려두고 건축물을 배치하였는데, 그 소나무가 데크를 뚫고 서 있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다. 조형 예술품을 전시하는 갤러리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Mass’라는 이름을 모티브로 데크 및 테라스 부분이 판이 아니 Mass로 인식되도록하되, 주변 경관의 조망을 해치지 않도록 계획했다. 수직 루버에 겹쳐져 보이는 자연 풍경을 통해, 금속 루버의 물성이 아닌 비물질적 이미지로 전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D. SPACE’ project tries to preserve old pine trees inside the site since it is impressive to see the tree standing through the deck. The name, ‘Mass Arts Plastiques,’ which reveals the identity of the gallery exhibiting sculpture artworks, is used as a motif itself to design its façade, deck, and terrace. The façade could be recognized as a mass but designed not to damage the view of the surroundings by the vertical louvers. Because of the landscape looked through the vertical lines, the metal louvers are perceived as the whole by the non-material image, not by its property.

No items found.

중앙 진입부는 접근이 편하도록 크게 열어두고, 주변부는 전체적인 Mass의 형태가 인지될 수 있도록 루버를 설치하여 입면을 디자인했다. 건물 후면부의 입면은 인접대지의 대나무 숲을 액자처럼 조망할 수 있도록 프레임을 만들었다. 진입 계단부는 양쪽에서 모이는 형태로 계획하여 갤러리 입구에 설치한 테라스로 모이도록 만들었다. 갤러리 내부에는 크게 아트숍, 전시공간, 오피스로 계획하였고, 오피스 공간을 통해 후면 테라스로 연결된다. 1층 데크는 루버의 높이를 조절하여 의자에 앉아서도 주변 풍경을 조망할 수 있도록 개방감을 확보하였다.

The vertical metal lines are widely cut for creating the entrance to have easy access and the rest of the louver is designed for a passerby to recognize the whole figure of the building. Passed by the entrance, a rectangular frame is appeared to capture a forest of bamboos around a neighborhood.  Two stairway from the wide entrance is gathered into a restful terrace in front of the front door of the gallery, ‘Mass Arts Plastiques.’ The place includes an art shop, an exhibition space, and an office by which is connected to a backyard terrace. The deck on the 1st floor is a spacious outdoor and has a view of poetic scenery even when sitting on a chair by carefu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ouvers.

No items found.
No items found.
No items found.
No items found.
No items found.
No items found.
MASS Arts Plastiques
Workscope
Architecture, Renovation, Interior Design, Furniture, Styling

Spatial Design

form & function

Location

Jongno-gu, Seoul

Principle Use

Gallery & Shop

Floor Area

235.58 ㎡

Photography

Park Juyoung

Construction

Sewon Design